1. 구조화
What
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.25% 인상했다.
Why
경기 침체의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.
How
현재 고물가, 한미 금리차로 인한 자본유출, 달러당 원화값 하락 등의 위험이 있다.
한은은 소비자 물가 상승치를 4.5%에서 5.2%로 대폭 상향 조정 했다.
기준금리는 2.25%에서 2.5%로 비교적 조금 올렸다.
우리나라 GDP 전망은 올 초 3%였다가 2.7%로 낮아졌다가 이번에 2.6%로 또 낮게 조정했다.
미국, 중국, 유럽의 경제지표가 모두 나빠지고 있다.
그러나 거리두기 해제로 민간소비증가율은 3.7%에서 4%로 올랐다.
이제 민간 소비가 경제 버팀목인 셈이다.
이런 민간 소비가 위축되지 않게 하기 위해 한은은 베이비 스텝으로 금리를 인상했다.
그러나 이미 연초보다 2% 오른 금리 때문에 소비가 위축될 수 있다.
한은은 연말에 기준금리 3%를 찍을수도 있다고 했다.
내년 물가는 3%로 한은의 중기물가관리목표 2%보다 훨씬 높다.
2. 용어
베이비스텝
기준 금리를 0.25%씩만 조정하는 것으로 가장 일반적인 금리 조정 형태이다.
3. 질문
물가가 높아질 경우 생기는 경제 및 사회 현상은 어떤 게 있을까?
4. 적용
금리 상승이 오히려 호재인 업종과 산업을 찾아서 투자에 적용한다.
'일단 한번 시도하는 이야기 > 뉴-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G에너지솔루션과 혼다의 배터리 동맹 (0) | 2022.08.30 |
---|---|
경기침체에 얼어붇는 산업현장 주력산업 '빨간불' (0) | 2022.08.29 |
상장사 배당금이 늘어나고 있다. (0) | 2022.08.25 |
예대금리차 공시의 실효성 의문 (0) | 2022.08.24 |
달러당 1340원으로 달러강세, 원화약세 (0) | 2022.08.23 |
댓글